반응형
1. 연소범위
가연성 가스가 공기와 적당히 혼합되어야만 연소, 폭발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 범위를 연소 범위 또는 폭발범위라 한다.
그럼 가연성 가스의 연소 범위에 따른 위험도는 어떻게 될까?
UFL: 연소상한계
LFL: 연소하한계
AIT: 발화점
위험도 (H)는?
-연소범위가 넓을수록 위험
-연소상한계가 높을수록 위험
-연소하한계가 낮을수록 위험
-온도가 높을수록 위험
-압력이 높을수록 위험
2. 인화점, 연소점, 발화점이란
인화점: 가연성 혼합기(연소범위)를 형성할 수 있는 최저온도를 인화점이라한다.
-인화점이 낮을수록 위험성이 커진다
-인화점 이하에서는 점화원을 가하여도 불꽃연소는 발생하지 않는다.
연소점: 연소상태를 지속하기 위한 온도로서 인화점보다 5~10도 정도 높다
-인화점에서는 점화원을 제거하면 연소가 중단되나 연소점에서는 점화원을 제거해도 연소가 지속된다.
발화점: 점화원을 가하지 않아도 스스로 착화될 수 있는 최저온도를 발화점이라 한다.
-발화점이 낮을수록 위험성이 커진다.
3. 인화점, 연소점, 발화점 온도 순서
인화점 < 연소점 < 발화점
4. 주요 가연성 가스의 폭발범위(연소범위)
가연성 가스 | 연소하한계(%) | 연소상한계(%) |
아세틸렌 | 2.5 | 81 |
수소 | 4.0 | 75 |
메탄 | 5.0 | 15 |
에탄 | 3.0 | 12.4 |
프로판 | 2.1 | 9.5 |
부탄 | 1.8 | 8.4 |
일산화탄소 | 12.5 | 74 |
디에틸에테르 | 1.9 | 48 |
이황화탄소 | 1.2 | 44 |
5. 위험도구하는 공식은?
연소상한계 - 연소하한계 | |
연소하한계 |
위험도 값이 클수록 위험성이 크다.
반응형
'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소방설비]절대압력[kPa] 구하는 문제? (1) | 2024.05.01 |
---|---|
위험물질 위험도 계산기 (0) | 2024.05.01 |
[위험물]제 4류 위험물 중 산화프로필렌에 대해 답하시오 (0) | 2024.04.22 |
[소방설비]자동화재탐지설비의 설치 (1) | 2024.04.22 |
[소방설비]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성능기준에 따른 배선 (0) | 2024.04.21 |